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9

칠성신 유래 신화, 형상과 역사, 의례 방법 과거를 배경으로 한 고전 드라마를 보면, 항상 어머니나 할머니가 뒤뜰 장독대의 항아리 위에 물이 가득한 그릇을 놓고 손을 비비면서 기도하는 모습이 나온다. 한국민속 신앙에는 가정을 지키는 신이 여럿인데 그 중 하나인 '칠성신(북두칠성 신앙)'께 기원하고 있었던 것이다. 일곱이나 되는 신이라 관장하는 영역이 다양하니, 가신 중 가장 크고 영향력 있는 신이라 할 수 있다. '칠성신 신앙'에 대해 알아본다.  칠성신 유래 신화칠성신은 북두칠성을 신격으로 모시는 것을 말한다. 별의 이름, 즉 신의 이름은 각각 천추, 천선, 천기, 천권, 옥형, 개양, 요광이다. 도교에서는 '칠원성군'으로, 불교에서는 '칠여래'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4방위 중 북두칠성을 최고로 모신다. 옛날, 어느 과부에게 일곱 아들이 있었다... 2024. 8. 30.
삼신할머니 정의와 유래, 의례와 과학적 의미 한국의 산모는 예나 지금이나 출산 이후 미역국을 반드시 먹는다. 그리고 임신한 동안 산모는 항상 바르게 보고 듣고 말하도록 요구받았다. 지금은 해조류 미역의 영양적 가치와 효능이 밝혀졌고, 산모의 스트레스가 태아에 미치는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자료도 많다. 그 옛날 이러한 지식이 없었던 때에도 민속신앙에는 이미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었다.삼신할머니 정의삼신할머니의 정의는 아기의 출산과 성장, 산모의 순탄한 출산과 건강 등을 관장하는 신이다. 무속신이자 집안을 두루 지켜주는 가신이기도 하다. 인간은 삼신의 점지로 태어난다. 삼신단지, 삼신바가지, 삼신할머니, 삼신할아버지, 세준할머니, 지앙할머니 등으로도 불린다. 지앙과 세준은 불교식 용어로 고대 민속 신앙에 불교가 가미된 것으로 보인다. 지앙은 제왕, 세준.. 2024. 8. 29.
고려의 밀교, 만다라, 합체불 신앙, 육자진언신앙 고려 시대는 지배층이 나라의 기틀을 잡고 질서를 세우기 위해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래서 고려 시대의 불교는 개인의 수행보다 호국적 특성으로 의례가 많고 성대하였다. 또한 몽골로부터 전해진 다양한 불교문화로 밀교가 발달하였다. 이러한 밀교형식은 하층민의 생활에 어렵지 않게 스며들어, 불교는 지배층과 하층민 모두의 요구를 만족시켰다. 밀교 형식에 대해 알아보자. 고려의 밀교 고려는 돈독한 불교적 신앙을 기반으로 건국되었고, 태조 왕건 이래 공양왕에 이르기까지 신앙의 열기는 계속되었다. 태조 왕건은 29명의 호족의 딸과 결혼을 통해 화합과 회유 정책을 표방했는데 당대 실효를 거두어 정치와 군사제도가 정비되어 갔다. 하지만 태조 사후, 정치적 안정은 견고하지 못했다. 그 이유는 개국공신들과 그 후손들에 대한.. 2024. 8. 25.
불교 무속과 갈등, 호국불교와 미륵사상, 무속 혼재 우리나라에 불교는 삼국시대에 도입되었다. 고구려, 백제와 달리 신라는 토착신앙과의 갈등이 꽤 심했다. 결국 법흥왕 14년,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받아들여졌는데, 불교는 지배층과 피지배층 모두가 만족스러운 교리를 담은 까닭에 교세를 넓혀갔고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신라 불교의 특징과 토속신앙과의 혼재 양상에 대해 알아보자.  불교, 무속과 갈등 인도의 불교는 중국에 들어와 '왕즉불(왕이 곧 부처다)'이라는 중국적 불교를 낳았고, 그것이 삼국시대에 영향을 미쳤다. 고구려의 불교 공인은 372년(소수림왕 2) 중국 전진의 승려 순도가 불상, 불경을 가지고 오면서 비롯되었다. 소수림왕은 초문사를 세워 그에게 이곳에서 불법을 전하도록 하였다. 백제는 384년 (침류왕 1) 중국의 동진에서 보낸 인도승려 마라.. 2024. 8. 21.